라벨이 조선의난방법인 게시물 표시

조선시대의 온돌, 우리 고유의 난방법 구들장 온돌방에 대해 정리

이미지
조선시대의 온돌, 우리 고유의 난방법 구들장 온돌방에 대해 정리 조선시대 건축물에서 특징은 온돌 입니다. 온돌은 방바닥에 돌을 깔고, 아궁이에 불을 지펴서 돌(구들)을 달구어 방을 데워 난방하는 구조를 뜻하는데. 즉 온돌은 방바닥을 고루 덥혀주기 때문에 습기가 차지 않고 화재에도 비교적 안전한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번 뜨거워진 구들장은 오랫동안 방바닥을 따듯하게 해주어 추운 겨울을 따뜻하게 지낼 수 있게 해줍니다. 또 연기와 재 등이 방에 남지 않으므로 청결한 생활이 가능하며, 특별한 가구 없이 지낼 수 있기 때문에 실내 공간 활용에도 매우 좋은 난방 방식입니다. 온돌은 장갱(長坑), 화갱(火坑), 난돌(暖堗), 연돌(烟堗), 구들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다가,19세기 이후 온돌이란 이름으로 정착되었는데, 온돌은 불을 때는 아궁이, 아궁이에서 나온 열을 전달받은 구들, 그리고 열기가 빨리 빠져 나가는 것을 막는 개자리, 연기가 통하는 연도, 그리고 연기를 배출하는 굴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통 뜨거운 열이 바로 전달되는 아랫목의 구들은 두껍게, 열이 늦게 전달되는 윗목의 구들은 얇은 돌을 놓기 마련인데, 방의 구들장 밑으로 만든 고랑인 방고래에 불길과 연기가 잘 통하여 구들 전체에 고루 열을 전달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온돌은 꾸준히 개량되어, 최근에는 온돌 대신 온수 파이프를 묻어 바닥을 덥히는 방식으로 아파트의 난방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조선 후기에 온돌이 전국적으로 급격하게 퍼진 것은 16〜17세기의 기후변화 때문으로, 이 시기에는 전세계적으로 추위가 닥친 시대였다고 합니다. 겨울의 기온이 급격하게 낮아져 화로와 휘장만으로는 추위를 감당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온돌이 널리 퍼져 보편화되고, 이에 따라 온돌방을 만드는 기술도 함께 발전하면서, 17세기 말에는 온돌방이 주택의 중심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온돌이 빠르게 확산되지 못했던 것은 몇 가지 문제 ...